직장생활

AI 시대의 ‘직장인 생존 전략’ “나만의 전문성이 답이다”

[TK_202407_NWY9835] 직업 전문성 및 커리어 관련 인식 조사

목차


I. Research Overview

1) 조사 설계

2) 응답자 특성

 

II. Research Summary

III. Research Finding

 

PART A. 現 직장생활 및 담당 업무(직무) 관련 평가

1. 現 직장생활을 통해 이루고 싶은 목표

2. 최선호 직장 유형

3. 일(업무)에 대한 ‘의미’ 부여 방식

4. 일(업무)에 대한 ‘동기’ 부여 방식

5. 現 담당 업무(직무) 유형 및 취업 준비 기간

6. 現 담당 업무(직무) 전문성 수준

7. 現 담당 업무(직무)를 통한 성장 및 자아 실현 정도

8. 現 직장생활 전반적인 만족도

 

PART B. 직업 전문성 및 커리어 관련 평가

1. 現 담당 업무(직무) 지속 의향

1-1. 現 담당 업무(직무) 커리어 지속에 대한 영향 요인

2. 現 담당 업무(직무) 커리어 관련 평가

1) 전체

2) 연령별

3) 재직회사 유형별

4) 직급별

5) 직무 전문성 수준별

3.現 담당 업무(직무)의 AI 대체 가능성

4. 향후 ‘AI 대체 가능성’이 높은 업무(직무)

5. ‘AI 기술’ 도입에 따른 직업 전문성 관련 인식 평가

6. 사무직 대비 ‘육체노동’에 대한 인식 평가

- “업무 성과에 대한 인정과 성취감 중요해”
- 고연령층, 월급 적더라도 ‘사회적 인정’ 통해 일의 의미 찾으려 해
- 현재 직무 만족도 수준, 47.2%
- ‘전문성’ 필요로 하는 직무일수록 ‘자부심’ 높아
- 50.4%, “현재 업무를 위해 개인 시간 할애하고 싶지 않아”
- 55.4%, “앞으로의 커리어를 위해 시간·비용 투자할 의향 있어”
- 65.8%, “AI 기술로 대체될 업무 많을 것 같아”
- 단, “미리미리 대비하고 있다”, 27.5%에 불과

 

 

- “업무 성과에 대한 인정과 성취감 중요해”
- 고연령층, 월급 적더라도 ‘사회적 인정’ 통해 일의 의미 찾으려 해

 →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가 전국의 만 19~69세 직장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직업 전문성 및 커리어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상당수의 직장인들이 업무 성과에 대한 인정과 성취감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선, 직장인 10명 중 7명(68.2%)이 현재 하고 있는 일의 결과물(아웃풋)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싶다고 응답할 정도로 자신의 노력이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지는 데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를 하면서 자신의 아이디어가 채택되거나(75.7%, 동의율), 업무 목표를 달성했을 때 동기 부여가 된다(75.2%)는 응답도 높은 수준으로, 업무 성과에 대한 인정과 성취감을 중요시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높은 급여뿐만 아니라 일의 사회적 인정을 통해 일의 의미를 찾는 직장인들도 적지 않은 편이었는데, 특히 고연령층을 중심으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는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월급이 조금 적더라도 일의 보람을 느끼거나(20대 42.5%, 30대 37.5%, 40대 52.0%, 50대 61.0%, 60대 74.5%)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일을 하고 싶다(20대 35.5%, 30대 30.0%, 40대 44.5%, 50대 49.5%, 60대 63.0%)는 응답이 타 연령층 대비 높게 평가된 것으로, 이들 세대가 단순히 생계를 위한 직업이 아닌, 직업을 통해 개인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니즈가 높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결과였다. 

 

 한편, 상당수의 직장인들이 조직 내에서는 최대한 감정 표현을 자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7명(74.6%)이 자신이 실제로 느끼는 감정과 회사에서 드러내는 감정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는 데에 공감을 내비친 것으로, 회사 생활을 하면서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드러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은 69.8%에 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때문인지 회사 생활에서는 실제로 느끼는 감정을 최대한 필터링해서 표현하는 경우(72.4%, 동의율)가 많은 편이었다. 아무래도 조직에서 자신이 바꿀 수 있는 것들이 거의 없다(48.5%, 동의율)고 느끼는 직장인들이 적지 않은 만큼, 감정적인 갈등을 피하기 위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 현재 직무 만족도 수준, 47.2%
- ‘전문성’ 필요로 하는 직무일수록 ‘자부심’ 높아

 → 현재 담당하고 있는 업무는 어느 정도 전문성이 요구되는 수준(42.2%)이라는 응답이 다수였으며 직무에 대한 만족도(47.2%)도 그리 높지 않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직무 전문성 수준을 높게 평가한 응답자일수록 만족도가 높게 평가된 점이 주목할 만한 결과였다(하단 그래프 참조). 아무래도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직무는 대개 조직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고,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업무에 대한 몰입도와 성취감도 높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실제로 직무 전문성 수준이 높을수록 하고 있는 일에 자부심을 느끼거나, 업무를 통해 스스로 성장 및 발전하고 있다고 느낀다는 응답이 두드러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신의 일을 통해 삶에 대한 동기 부여를 얻는 것은 물론,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인식도 뚜렷해,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직무가 개인의 성취감뿐만 아니라 조직 내 성과 향상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 50.4%, “현재 업무를 위해 개인 시간 할애하고 싶지 않아”
- 55.4%, “앞으로의 커리어를 위해 시간·비용 투자할 의향 있어”

 → 전반적으로 현재 자신이 하고 있는 직무에 자부심을 느끼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해당 업무를 지속할 의향 역시 비교적 높게 평가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평생 계속할 생각이다 - 19.5%, 평생이 될지는 모르지만, 당분간은 계속할 생각이다 - 59.8%). 단, 현재 자신의 업무를 위해 시간을 투자하는 직장인들은 많지 않았던 반면, 장기적인 커리어 발전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점은 눈에 띄는 결과였다. 우선, 전체 직장인 10명 중 4명(37.3%)만이 평소 자신의 업무를 위해 다양한 자기 계발을 하고 있다고 밝힌 가운데, 업무에 개인 시간을 할애하고 싶지 않다(50.4%, 동의율)는 인식도 적지 않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앞으로의 업무 커리어를 위해 시간과 비용을 투자할 의향이 있고(55.4%, 동의율), 다양한 공부나 자기 계발을 하고 싶다(54.5%)는 응답이 과반으로 평가되는 등 미래의 커리어를 위해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20대 저연령층을 중심으로 현재 담당 업무 및 커리어를 바꾸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거나(20대 45.0%, 30대 31.0%, 40대 33.5%, 50대 26.0%, 60대 30.5%) 커리어 변경을 위한 공부 의지(20대 64.0%, 30대 55.0%, 40대 50.0%, 50대 47.0%, 60대 56.5%)가 두드러진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세대의 경우 상대적으로 직무 경험이 부족한 데다가 취업시장의 불안정성이 전망되고 있는 만큼,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전략으로 개인의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 65.8%, “AI 기술로 대체될 업무 많을 것 같아”
- 단, “미리미리 대비하고 있다”, 27.5%에 불과

 → 한편, 최근 업무 환경에 AI 기술이 도입되면서 현재 업무의 일부가 AI로 대체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하단 그래프 참조). 전체 직장인의 상당수가 앞으로 업무 환경에 AI 기술이 확대 도입된다면 대체될 업무가 많을 것 같다(65.8%, 동의율)는 데에 공감을 내비쳤으며, 많은 사무직 노동자의 일자리가 없어질 것 같다는 응답도 62.5%에 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단, 현재 업무의 대체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미래 변화를 미리미리 대비하고 있는 직장인 비율은 27.5%에 불과해 업무의 대체 가능성에 위기를 느끼면서도 구체적인 준비는 부재하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결과였다.

 


 

 

 
본 조사는 특정 기업의 의뢰 없이
엠브레인 컨텐츠사업부(트렌드모니터)
자체 기획 및 자체 비용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자료구성
  • 통계테이블
  • 보고서

상세정보

  • 사회/문화-직장생활
  • 조사기간 2024-07-03~2024-07-05
  • 샘플수 1000
  • 보고서 페이지수 36

자료 다운로드

전체파일

  • 통계테이블
  • 보고서
트렌드모니터의 콘텐츠를
구독하세요!
트렌드모니터의 콘텐츠를 구독하세요!
패밀리 사이트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