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쇼핑

‘개인 물류 허브’로 진화한 편의점 “느려도 쓴다, 싸니까”

[TK_202506_NWY10000] 편의점 택배 서비스 관련 U&A 조사

목차


I. Research Overview

1) 조사 개요

2) 응답자 특성

 

II. Research Summary

 

III. Research Finding

 

PART A. 택배(물류) 발송 경험 관련 평가

1. 평소 온라인 쇼핑 빈도 및 배송 수령 방식

2. 택배(물류) 직접 발송 경험 유무

2-1. 택배(물류) 발송 경험

① 발송 빈도 및 목적

② 발송 방식 및 주 고려 요인

 

PART B. 편의점 택배 서비스 이용 경험 평가

1. 최근 1년 내 편의점 택배 서비스 이용 경험

2. 편의점 택배 발송 경험 평가

① 이용 이유 및 방식

② 이용 브랜드

③ 브랜드별 만족도

④ 일반 택배 서비스 대비 만족도

3. 편의점 택배 발송 경험 관련 전반적 인식 평가

4. 편의점 택배 서비스 이용 시 주 고려 요인

5. 편의점 택배 서비스 관련 긍·부정 인식 평가

1) 전체

2) 연령별

3) 편의점 택배 이용 경험별

6. 편의점 택배 특화 서비스별 호감도

7. 일반 택배 vs 편의점 택배 서비스 선호도 평가

8. 향후 편의점 택배 서비스 이용 의향

9. 향후 편의점 택배 서비스 전망

- 택배 서비스, 주로 ‘중고거래’, ‘반품’ 목적으로 이용하는 편
- 10명 중 6명, “최근 ‘편의점 택배’ 이용해본 경험 있어”
- ‘편의점 택배’ 전반적인 만족도 높은 편
- 저연령층, 브랜드별 ‘혜택’, ‘요금’ 꼼꼼히 살펴
- 79.3%, “향후 ‘편의점 택배’ 이용할 의향 있어”
- 48.2%, “요금·품질 등 고려하면 ‘편의점 택배’ 합리적인 편”

 


- 택배 서비스, 주로 ‘중고거래’, ‘반품’ 목적으로 이용하는 편
- 10명 중 6명, “최근 ‘편의점 택배’ 이용해본 경험 있어”

 →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가 전국 만 13~69세 성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편의점 택배 서비스 관련 U&A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근 ‘편의점 택배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접근성’과 ‘가격’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선, 전체 응답자 10명 중 8명(80.1%)이 직접 택배(물류)를 발송해본 경험이 있었으며, 온라인 쇼핑 빈도가 잦을수록 택배 발송 경험이 많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주 5회 이상 92.7%, 주 3~4회 87.7%, 주 1~2회 84.4%, 월 2~3회 76.9%). 택배 발송은 주로 직거래나 중고거래를 목적(52.7%, 중복응답)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구매한 제품을 반송(50.2%)하거나 지인에게 선물을 보내기 위해 이용한다(40.7%)는 응답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저연령층에서 직거래나 중고거래 목적으로 택배를 이용한 비율이 두드러지는 특징을 보여(10대 79.7%, 20대 71.5%, 30대 58.0%, 40대 55.7%, 50대 27.9%, 60대 28.1%), 이들 세대에서 중고 제품을 사고파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한편, 택배(물류) 발송 시에는 택배 접수처나 편의점 등을 직접 방문한다(67.4%)는 응답이 다수를 차지했으며, 대체로 접근 편의성(39.3%, 중복응답)이나 이용 요금(38.8%), 접수 과정의 간편함(35.7%)을 고려해 발송 수단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중소비자들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택배 서비스를 선호하고 있음을 짐작해볼 수 있는 대목이었다. 실제로, 전체 응답자의 과반(59.1%)이 최근 1년 이내에 편의점 택배를 발송해본 경험이 있을 정도로, 연중무휴 운영되는 ‘편의점 택배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편의점 택배를 선택한 이유로는 365일, 24시간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고(38.2%, 중복응답), 근처에 있는 편의점을 이용하기 편하다(33.6%)는 점을 우선으로 꼽아, 접근성 측면에서 큰 강점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 ‘편의점 택배’ 전반적인 만족도 높은 편
- 저연령층, 브랜드별 ‘혜택’, ‘요금’ 꼼꼼히 살펴

 → 전반적으로 편의점 택배 서비스는 일반 택배 대비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만족하는 편 67.8%, 보통/반반 28.3%). 이용 경험자의 상당수가 직접 택배를 보내야 할 때 편의점 택배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경우가 많았고(62.2%, 동의율), 편의점 택배 서비스가 없었다면 불편했을 것 같다는 응답도 69.5%에 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편의점 택배를 더 선호하고 자주 이용하는 편이었는데(10대 53.8%, 20대 58.2%, 30대 52.9%, 40대 46.9%, 50대 41.3%, 60대 38.8%), 브랜드 별로 요금이나 혜택을 비교하는 경향이 강한 특징을 보인 점이 주목할 만한 결과였다(하단 그래프 참조). 또한 10대 저연령층의 경우, 편의점 택배를 이용하면서 특정 브랜드를 더 자주 찾게 된다는 응답이 타 연령층보다 높게 나타나(10대 58.7%, 20대 51.5%, 30대 39.7%, 40대 44.5%, 50대 50.5%, 60대 54.1%), 택배 서비스 이용 경험이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로 이어지고 있는 모습까지 살펴볼 수 있었다. 향후 해당 수요층을 선점하는 것이 장기적인 브랜드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에 중요한 관건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한편, 편의점 브랜드 중에서는 GS25(75.7%, 중복응답)와 CU(62.1%)의 택배 서비스 이용 경험률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만족도 역시 GS25(60.4%), CU(34.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편의점 택배 발송 경험자의 상당수(61.8%)가 평소 이용해 본 편의점 브랜드 중심으로 택배 서비스를 이용한다고 밝힌 것으로 미루어, 초기 이용 경험이 이후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 79.3%, “향후 ‘편의점 택배’ 이용할 의향 있어”
- 48.2%, “요금·품질 등 고려하면 ‘편의점 택배’ 합리적인 편”

 → 기본적으로 편의점 택배 서비스는 24시간 이용 가능하고(81.6%, 동의율), 접근성이 좋다(81.2%)는 점에서 높게 평가되고 있었다. 아울러 무인/비대면으로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76.8%)는 응답도 높은 수준으로, ‘편의성’이 편의점 택배 서비스의 가장 큰 장점으로 여겨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저연령층에서는 가성비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고(10대 61.0%, 20대 68.5%, 30대 62.5%, 40대 57.0%, 50대 56.5%, 60대 55.5%), 저렴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배송이 느려도 감수할 수 있을 것 같다(10대 51.0%, 20대 54.5%, 30대 43.5%, 40대 37.0%, 50대 38.0%, 60대 32.5%)는 태도가 뚜렷한 모습까지 살펴볼 수 있었다. 실제로 이들 세대는 주요 편의점에서 제공하고 있는 특화 서비스 중 반값 택배에 대한 호감도(10대 46.5%, 20대 51.0%, 30대 48.0%, 40대 32.5%, 50대 33.5%, 60대 27.5%)가 타 연령층 대비 뚜렷한 특징을 보였다.

 마찬가지로 편의점 택배 서비스는 접수 과정에서의 편의성(65.1%)과 이용 요금(62.7%) 측면에서 선호도가 높은 편이었고, 이를 종합해보면 편의점 택배 서비스가 더 합리적인 것 같다(48.2%, 동의율)는 인식이 절반에 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택배 요금이 저렴하다 해도 배송이 느린 것은 불편함이 클 것 같다(52.7%, 동의율)는 지적이 적지 않았지만, 최근 편의점 택배 서비스가 충분히 경쟁력 있는 서비스(72.3%)로 평가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인 대목이었다. 이에 전체 응답자의 대다수(79.3%)가 향후 편의점 택배 서비스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며, 해당 서비스 이용 시에는 점포 수가 많은 브랜드 중심으로 이용(67.4%, 동의율)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 보였다. 특히, 편의점 택배 서비스는 방문 시 편의점 매장을 한번 둘러보게 될 것 같다는 응답이 69.9%에 달할 만큼, 편의점 택배 서비스는 고객 유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상당수의 소비자들이 앞으로 편의점 택배 서비스가 브랜드별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했으면 좋겠다(72.6%, 동의율)는 의견을 내비친 점을 고려할 때, 특화된 서비스 경험을 통해 택배 서비스 이용자를 선점하는 것이 향후 편의점 업계의 성장에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음을 예상해 볼 수 있었다. 


 

 


본 조사는 특정 기업의 의뢰 없이
엠브레인 컨텐츠사업부(트렌드모니터)
자체 기획 및 자체 비용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자료구성
  • 통계테이블
  • 보고서

상세정보

  • 유통/쇼핑-유통/쇼핑
  • 조사기간 2025-06-13~2025-06-16
  • 샘플수 1200
  • 보고서 페이지수 30

자료 다운로드

전체파일

  • 통계테이블
  • 보고서

트렌드모니터만의 유용한 콘텐츠로
인사이트를 얻어 가세요!
트렌드모니터의 유용한 콘텐츠로 인사이트를 얻어 가세요!
패밀리 사이트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