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이슈

‘비교’, ‘경쟁’ 시달리는 한국 사회, ‘높은 자존감’이 생존 방법으로 여겨져

[TK_202306_NWY8918] 자존감 관련 인식 조사

목차


I. Research Overview

1) 조사 설계

2) 응답자 특성

 

II. Research Summary

III. Research Finding

 

PART A. 스스로의 가치 및 경쟁력 수준 평가

1. 평소 인간관계 성향 및 타인에 대한 의식 수준

2. 스스로의 가치 긍·부정 평가

3. 개인의 경쟁력 평가

1) 사회 생활에서의 ‘나의 경쟁력’

2) 사회 생활에서의 ‘타인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쟁력’

4. 평균 대비 스스로의 경쟁력 수준 평가

5. 인생에서 ‘척’ 해 본 경험 유무

 

PART B. ‘자존감’ 수준 관련 인식 평가

1. 現 자존감 수준 평가

2. 자존감 ‘상승’에 영향을 주는 요인

3. 자존감 ‘하락’에 영향을 주는 요인

3-1. SNS가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력

4. 자존감 수준에 따른 이미지 및 인식 평가

1) 전체

2) 성별

3) 연령별

5. 한국 사회 內 ‘높은 자존감’의 중요성

6. ‘높은 자존감’의 중요성 평가

1) 전체

2) 성별

3) 연령별

- 10명 중 8명, “나만의 ‘장점’이 있다고 믿어”
- 나만의 경쟁력으로는 주로 ‘성품(40.8%)’, ‘인간관계(39.0%)’ 꼽아
- 다만, 스스로의 자존감 수준 높게 평가하는 사람(48.6%) 많지는 않아
- “높은 자존감은 내적인 가치관에서 비롯되지만, 경제력 무시 못 해”
- 92.7%,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높은 자존감’ 필요”
- 2030세대, ‘자존감’을 생존방식으로 여기는 경향 강해 

 


- 10명 중 8명, “나만의 ‘장점’이 있다고 믿어”
- 나만의 경쟁력으로는 주로 ‘성품(40.8%)’, ‘인간관계(39.0%)’ 꼽아

 →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가 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자존감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스스로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이 많은 가운데, ‘높은 자존감’이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일종의 생존 방법으로 여겨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기본적으로 대다수의 사람들이 스스로에 대해 좋은 평가를 내리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8명(79.9%)이 자신에게도 몇 가지 좋은 장점이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었으며, 다른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자신이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여기는 태도(63.2%, 동의율)도 뚜렷한 편이었다. 아울러 스스로를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경향도 강해(63.6%), 전반적으로 자신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생활에서 자신이 갖고 있는 가장 큰 장점이자 경쟁력으로는 주로 좋은 성품(40.8%, 중복응답)과 사람들과의 좋은 관계(39.0%), 다양한 경험(28.5%) 등 내면적인 요소를 언급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중 저연령층은 성품(20대 43.6%, 30대 44.8%, 40대 37.2%, 50대 37.6%)과 관계(20대 40.4%, 30대 42.0%, 40대 38.0%, 50대 35.6%)에서, 고연령층은 경력(20대 23.6%, 30대 24.8%, 40대 31.2%, 50대 34.4%)과 전문지식(20대 10.4%, 30대 16.0%, 40대 22.0%, 50대 19.6%)에서 자신의 경쟁력을 찾는 태도가 더 강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사회생활에서 ‘타인’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쟁력은 무엇보다 외적인 요소에 치우쳐져 있다고 생각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사람들은 사회생활에서 재력 및 경제력(34.9%, 중복응답)을 중요한 경쟁력으로 평가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인간관계(33.4%)와 전문성 있는 지식(28.1%), 현재 직업 및 직장(27.2%)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의견이 뒤를 이었다. 스스로는 내면적인 요소를 중요하게 평가하지만, 타인의 경우에는 주로 외부적 요소와 경제적 요소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한다는 시선이 존재하는 것으로, 개인의 기준과 사회적 기준에 차이가 있다는 해석을 가능케 한다.

 


- 다만, 스스로의 자존감 수준 높게 평가하는 사람(48.6%) 많지는 않아
- “높은 자존감은 내적인 가치관에서 비롯되지만, 경제력 무시 못 해”

 → 한편, 스스로를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여기는 태도가 강한 것과는 달리 사회 전반적으로 개개인의 자존감 수준이 높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현재 스스로의 자존감 수준을 높은 편이라고 평가하는 응답자(48.6%)가 절반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자존감이 높은 사람을 선망하는 모습을 쉽게 엿볼 수 있었는데, 응답자의 상당수(69.3%)가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을 보면 닮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는 데에 공감하고 있었으며, 평소 자존감이 높은 사람에게 끌린다는 응답도 62.7%에 달한 것이다. 반면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인간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고(68.2%, 동의율) 능력이 좋더라도 자존감이 낮으면 실패할 확률이 높다(49.0%)는 부정적인 인식이 상당히 강했다. 이 때문인지 스스로의 자존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전체 응답자의 57.0%가 평소 ‘자존감이 높은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편이라고 응답했으며,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50.6%)도 비교적 많아 보였다. 

 


 대중 소비자들이 평가하는 자존감이 높은 사람의 특징으로는 자신만의 가치관과 신념이 뚜렷하고(57.0%, 중복응답), 자신의 가치 판단을 타인과의 비교에 두지 않으며(46.0%), 자신의 판단과 선택을 신뢰한다(45.9%)는 점이 주로 언급되었다. 자신감과 뚜렷한 신념, 자기 존중과 같은 내적인 가치관을 갖추는 것이 자존감 형성에 직결된다고 생각하는 모습으로, 전체 응답자의 61.0%가 높은 자존감은 외적인 요소(스펙, 경제력 등)보다 내적인 태도(가치관)에서 비롯되는 것이라는 데에 공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경제력과 같은 외적인 스펙이 자존감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평가도 많았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6명(63.5%)이 자존감은 경제력과 큰 연관이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실제로 자신의 계층 수준을 높게 평가한 응답자일수록 자존감 수준이 평균 대비 높게 나타나는 상관관계가 뚜렷했다(중상층 이상 73.5%, 중간층 54.7%, 중하층 39.4%, 하층 20.5%).

 


- 92.7%,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높은 자존감’ 필요”
- 2030세대, ‘자존감’을 생존방식으로 여기는 경향 강해 

 → 이렇듯 자존감을 중요하게 여기는 태도가 강해지면서 사회 전반적으로 높은 자존감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공감대도 형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92.7%가 한국 사회에서 높은 자존감을 갖고 살아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바라봤으며, 높은 자존감을 갖지 않으면 살아남기 어렵다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43.9%, 동의율). 이는 양극화가 점점 심해지고, 타인과의 비교가 일상화된 한국 사회에서 ‘자존감’이 일종의 생존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었다. 특히, 2030 저연령층을 중심으로 자존감이 생존 방법으로 인식되는 비율이 좀 더 높게 나타난 점은 주목할 만한 결과이다(20대 46.4%, 30대 47.2%, 40대 41.2%, 50대 40.8%). 아무래도 저연령층일수록 평소 SNS상에서 보여지는 타인과 자신의 모습을 비교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이로 인해 자신감이 하락하는 문제에 대한 불안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저연령층에서 SNS가 자존감 하락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고(20대 54.0%, 30대 50.0%, 40대 41.6%, 50대 28.0%), SNS에서 잘 사는 다른 사람들을 보면 자존감이 낮아지는 기분이 든다(20대 40.8%, 30대 34.4%, 40대 31.2%, 50대 28.8%)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본 조사는 특정 기업의 의뢰 없이

엠브레인의 컨텐츠사업부(트렌드모니터)의

자체 기획 및 자체 비용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자료구성
  • 통계테이블
  • 보고서

상세정보

  • 사회/문화-사회이슈
  • 조사기간 2023-06-13~2023-06-16
  • 샘플수 1000
  • 보고서 페이지수 32

자료 다운로드

전체파일

  • 통계테이블
  • 보고서
트렌드모니터의 콘텐츠를
구독하세요!
트렌드모니터의 콘텐츠를 구독하세요!
패밀리 사이트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