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Research Overview
1) 조사 설계
2) 응답자 특성
II. Research Summary
III. Research Finding
PART A. 평소 대중교통 이용 패턴 및 교통비 부담도 관련 평가
1. 주 이용 대중교통 수단
2. 평소 출퇴근(등하교) 방법 및 소요 시간
3. 월 평균 교통비 수준
4. 우리나라 대중교통 시스템 관련 인식 평가
5. 최근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 인상 체감도 수준
5-1.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 인상에 따른 교통비 부담도 수준
6. 現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 수준 적정도 평가
7. 대중교통 요금 인상 및 교통비 부담도 관련 평가
1) 전체
2) 연령별
3) 출퇴근 유형별
PART B. 교통비 지원 정책 관련 인식 평가
1. 평소 교통비 절약 실천 방법
2. 교통비 지원 정책(K-패스, 기후동행카드) 인지 여부
3. 교통비 지원 정책(K-패스, 기후동행카드) 관심도 평가
4. 교통비 지원 정책 시행 時 교통카드 발급 의향
5. 교통비 지원 정책 관련 전반적인 인식 평가
1) 전체
2) 연령별
- 10명 중 8명, “대중교통 요금 인상으로 생활비 부담 가중”
- 이에 따라 ‘교통비 절약 방법’에 대한 관심 높아져
- 86.0%, “교통비 최대한 아끼고 싶은 마음 있어”
- 89.0%, “거의 매일 타는 대중교통, 비용 줄이기 어려워”
- ‘교통비 지원 정책(K-패스, 알뜰교통카드)’에 대한 관심 높은 편
- 단, 근본적인 대책으로 ‘요금 인하 및 동결’ 언급하는 경우 많아
- 10명 중 8명, “대중교통 요금 인상으로 생활비 부담 가중”
- 이에 따라 ‘교통비 절약 방법’에 대한 관심 높아져
→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가 최근 3개월 기준 대중교통 이용 경험이 있는 만 19~69세 서울/인천/경기 거주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교통비 부담도 및 교통비 지원 정책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중교통 요금 인상에 따른 생활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교통비 절약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최근 정부, 지자체에서 추진 중인 교통비 지원 정책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정책 효과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 역시 적지 않은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우선, 전체 응답자 10명 중 8명(83.9%)이 대중교통 요금 인상은 서민들에게 큰 부담이라고 응답한 가운데, 최근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 인상에 대한 체감도(매우 많이 체감 32.3%, 어느 정도 체감 49.5%)가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소 출퇴근(등하교) 시 주 이동 수단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비율(86.8%, 중복응답)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난 만큼, 교통비 인상이 일상생활 전반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교통비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들도 69.6%에 달한 결과를 보였는데, 특히 20대 저연령층과 서울-인천/경기 통근(통학)자를 중심으로 교통비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 편이었다(하단 그래프 참조). 1회에 백 원 단위의 인상이지만 한 달로 보면 교통비 부담이 크게 느껴지는(75.7%, 동의율) 만큼, 한 달 치 교통비 지출 내역으로 대중교통 요금 인상을 체감(78.7%)하는 모습이었다. 그 결과 전반적인 생활비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높게 평가되고 있었고(82.7%, 동의율) 그만큼 물가 및 가격 인상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토로하는 경우가 많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듯 현재 인상된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은 대체로 비싸다는 인식이 강한 편이었는데, 주로 ‘광역버스(비싼 편 70.5%)’와 ‘간선·지선 버스(비싼 편 46.5%)’ 요금 수준을 높게 평가했으며 ‘지하철’ 요금은 아직까지 적정 수준(50.1%)이라는 응답이 두드러진 점이 특징적이었다.
- 86.0%, “교통비 최대한 아끼고 싶은 마음 있어”
- 89.0%, “거의 매일 타는 대중교통, 비용 줄이기 어려워”
→ 대중교통 요금 상승으로 생활비에 대한 부담감이 커지면서 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74.3%, 동의율) 또한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9명(86.0%)이 교통비를 최대한 아끼고 싶은 마음이 있다고 밝힌 가운데, 교통비를 줄일 수만 있다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 보고 싶다는 응답이 79.0%에 달한 결과를 보인 것이다. 실제로 전체 응답자의 64.4%는 교통비 절약 방법을 직접 실천하고 있는 모습까지 살펴볼 수 있었다. 대체로 평소 교통비를 아끼기 위해 도보 30분 이내 거리는 최대한 걷거나(67.6%, 중복응답), 환승 할인(61.7%)을 실천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교통비 할인 카드(40.4%)나 리워드 혜택(34.2%)을 활용한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다만 전체 응답자의 대다수가 대중교통은 거의 매일같이 타야 하다 보니 비용을 줄이기가 어렵고(89.0%, 동의율), 줄이려 해도 줄이기 어려운 비용(83.8%)으로 평가할 만큼 일상생활에서의 개인적인 노력만으로 교통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은 높지 않아 보였다.
한편, 전체 응답자 10명 중 9명(91.0%)이 대중교통 요금은 앞으로 계속 인상될 것 같다고 전망한 가운데, 요금 인상 대신 거리 비례 요금제를 강화하거나(60.0%, 동의율) 노인 무임승차 혜택을 줄이는(59.8%) 등 현실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 아울러 노년층뿐만 아니라 대학생에게도 요금할인 혜택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55.7%, 동의율)는 의견까지 피력하고 있어, 교통비 인상 이슈와 관련된 사회 전 구성원의 공감대와 합의가 부족할 경우 자칫 이 점은 세대 갈등을 초래하는 사회적 이슈로 부각될 가능성이 있음을 예상해 볼 수 있었다.
- ‘교통비 지원 정책(K-패스, 알뜰교통카드)’에 대한 관심 높은 편
- 단, 근본적인 대책으로 ‘요금 인하 및 동결’ 언급하는 경우 많아
→ 한편, 최근 정부와 지자체에서 추진 중인 ‘교통비 지원 정책’에 대해선 어느 정도 대중적인 관심과 지지가 뒷받침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교통비 지원 정책에 대해 자세히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는 14.9%에 불과했지만, 교통비 지원 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66.0%)이 높아지면서 전체 응답자 10명 중 9명(85.2%)은 향후 교통비 지원 정책을 최대한 활용하고 싶다는 의향을 밝히고 있었다. 주요 정책인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 중에서는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K-패스’에 대한 호감도가 좀 더 높은 편이었는데(K-패스 58.2%, 기후동행카드 28.3%), 대체로 전 지역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정책 출시에 대한 니즈가 높고(90.4%, 동의율) 교통수단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는 응답 또한 85.6%에 달한 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다양한 지역에서 대중소비자 전체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수준의 지원을 기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었다. 다만, 아직까지는 새롭게 시행될 교통비 지원 정책이 실제로 큰 혜택이 될지는 미지수이고(58.1%, 동의율), 스마트폰 APP 기반의 정책으로 소외되는 계층이 많을 것 같다(77.0%)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한 점은 생각해 볼 만한 결과였다. 나아가 교통비 지원 정책은 예산 문제로 장기적인 시행이 어려울 것(60.2%, 동의율)이라 전망하고 있는 만큼, 이용 요금을 내리거나(66.9%) 동결하는 것이 우선(58.2%)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았다.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공공정책 또한 보여주기식 정책보다 좀 더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뚜렷하게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조사는 특정 기업의 의뢰 없이
엠브레인의 컨텐츠사업부(트렌드모니터)
자체 기획 및 자체 비용으로 진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