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신
  • Deep하게 보기
  • Deep하게
    보기
  • 뾰족하게 보기
  • 뾰족하게
    보기
  • 마켓 펼쳐보기
  • 마켓펼쳐
    보기
  • 과거요맘때
2025년 11월 18일
디지털 서비스 핵심 고객으로 부상한 GG세대
Today

중장년층인 GG세대(Grand Generation)가 헬스케어, 금융,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을 적극 활용하는 사례가 늘면서, 디지털 서비스의 핵심 고객층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GG세대, 건강 관리도 '디지털'로 한다
  • 건강관리 앱 캐시워크, 이용자의 40%가 50대 이상

  • 진료 접수, 내역 조회, 보험 청구 등 디지털 의료 서비스 적극 이용

   → 의료 서비스 앱 캐시닥, 이용자의 36%가 50대 이상

 

♦ 여가, 패션 등 문화 생활서도 모바일 적극 이용

  • 은퇴 후 의미 있는 여가 위해 취미·공동체 관련 플랫폼 수요 증가

   → 시니어들의 여가 관련 커뮤니티 '시놀' 인기

  • 패션 커머스 시장 내 중장년층 여성 수요 증가

   → 이들 대상으로 스타일링 제공하는 패션 앱 퀸잇 등장

 

기사 바로가기

프롬포트로 예술을 하는 시대? Promptist 부상
Today

생성형 AI가 콘텐츠 제작을 넘어 글로벌 플랫폼의 핵심 콘텐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에 AI에게 명령어(프롬프트)를 전달해 예술(Art)을 제작하는 아티스트인 '프롬프티스트(Promptist)'라는 신조어도 등장했습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글로벌 플랫폼을 장악한 AI 음악

  • 유튜브, 틱톡 등 글로벌 플랫폼에서 AI 음악 다수 활용되는 추세

  • 멜로디 창작을 넘어 '보컬'의 자리까지 위협하는 AI

  • 음반 발매는 드물지만, 음원 스트리밍 형태의 경제 규모는 급성장

 

♦ 영상 생태계까지 확대하는 AI

  • 아직 큰 영향력은 없지만 조금씩 '극장'의 영역까지 침범 중

  • AI 영화 <나야, 문희> 관객 7천명 기록

 

♦ AI 콘텐츠 시대에 떠오른 프롬프티스트(Promptist)

  • AI에게 프롬포트를 입력해 창작물 만들어내는 프롬프티스트

  • 현재는 음악 분야에서 '저작인접권'을 받고 있음...향후 영상 쪽 전망은?

 

기사 바로가기

작가도 독자도 젊어진 요즘 한국 문학
Today

MZ세대의 '텍스트힙' 열풍과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으로 '한국 문학'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양적 성장과 함께 질적 변화도 나타나고 있으며, 1020세대가 독자로 새롭게 유입되면서 젊은 작가들이 주목받고 문학적 화두 역시 변화하는 모습입니다.

 

눈여겨 볼 포인트

 

♦ 지금은 한국 문학 전성 시대

  • 국내 출판 시장 소설 판매량 전년 대비 22.5% 증가

  • 한국 소설 판매량 전년 대비 46.9% 증가, 반면 해외 소설은 0.8% 그쳐

 

♦ 1020세대, 새로운 독자 층으로 부상

  • 문학 주요 독자층으로 1020세대 새롭게 유입

  • 젊은 작가의 '셀럽화', 다양한 채널로 독자와 소통하는 작가들 등장

 

♦ 젊은 작가들의 등장...문학적 화두의 변화

  • 국내 주요 문학상을 차지하는 90년대 작가 사례들이 연이어 등장

  • 문학계의 세대교체와 함께 주제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

   → 돌봄과 감정 노동, 젠더, 사회적 고립, 기후 위기 등 새로운 의제 등장

 

기사 바로가기

트렌드모니터만의 유용한 콘텐츠로
인사이트를 얻어 가세요!
트렌드모니터의 유용한 콘텐츠로 인사이트를 얻어 가세요!
패밀리 사이트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