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문화

“문화와 취향까지 즐기는 매력적인 공간” 동네 책방의 가치에 매력을 느끼는 사람들

[TK_202211_TRY8222] 2022 동네 책방 관련 인식 조사

목차


I. Research Overview

1) 조사 설계

2) 응답자 특성

 

II. Research Summary

III. Research Finding

 

PART A. 독서 경험 관련 평가

1. 최근 1년 기준 독서량 및 분야

2. 도서 구매 패턴

3. 독서를 하는 이유

4. 과거 대비 독서량 변화

5. ‘독서’ 관련 인식 평가

1) 2017년 VS 2022년 비교

2) 연령별

 

PART B. ‘동네 책방’ 방문 경험 및 인식 평가

1. 「동네 책방」 이미지 연상

2. ‘동네 책방’ 방문 경험 및 이유

3. ‘동네 책방’ 방문 경험 VS 미경험 평가

4. 동네 책방 & 동네 서점(중/소형 문고) 관련 평가

1) 대형 서점 대비 경쟁력

2) 대형 서점 대비 취약점

5. ‘동네 책방’ 관련 전반적인 인식 평가

1) 2017년 VS 2022년 비교

2) 성별

3) 연령별

- 10명 중 8명 “동네 책방만의 공간의 가치 있다”
- 동네 책방 방문 경험자일수록 향후 방문 의향 높아
- 75.6% “책 구매 목적이라면 대형 서점 찾을 것”
- 78.2% “주변에 매력적인 동네 책방 많아졌으면”
- 최근 1년 기준 독서량 7.7권, 2017년 대비 소폭 더 줄어
- 10명 중 8명 “독서 필수적 문화생활이나 강요될 순 없어”

 

- 10명 중 8명 “동네 책방만의 공간의 가치 있다”
- 동네 책방 방문 경험자일수록 향후 방문 의향 높아

→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가 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동네 책방’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개인의 취향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다양한 문화생활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동네 책방만의 묘미에 많은 사람들이 매력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불어 독서의 필요성에 크게 공감하면서도 전반적인 독서량은 여전히 저조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점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먼저, 동네 책방을 떠올렸을 때 다소 고루한 이미지가 연상된다는 응답이 많은 편이었다. 장사가 잘 안 될 것 같고(33.9%, 중복응답), 다량의 참고서나 문제집을 보유한 장소(33.5%)라는 평가가 많았는데, 이전 2017년 조사와 비교해 아늑하고(18.4%(2017) → 29.6%(2022)) 문화적이며(15.5%(2017) → 20.8%(2022)) 취향이 살아 있는 공간(10.7%(2017) → 19.3%(2022))이라는 긍정 인식이 소폭 증가한 것이 특징적이었다. 또한 동네 책방을 하나의 ‘문화생활 공간’으로 바라보는 경향(76.8%, 동의율)이 강했는데, 동네 책방을 통해 다양한 문화적 가치가 공존하는 장소들이 늘어날 것(66.8%) 같고, 책을 가깝게 느끼는 사람들도 많아질 것 같다(66.4%)는 응답은 주목해볼 만한 부분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동네 책방에 대한 긍정 평가는, 개인의 취향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와 연관이 있다(73.9%, 동의율)는 인식이 강한 편이었다. 

 

 

동네 책방을 방문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일수록 방문 만족도와 향후 방문 의향이 상당히 높게 평가된 점도 동네 책방의 미래 가늠자로서 주목해볼 만한 결과였다. 물론 최근 1년 이내 동네 책방 방문 경험은 16.2%로 저조한 편이었으나 2017년 조사와 비교해 소폭 증가(10.5%(2017) → 16.2%(2022))한 것으로 나타난 데다 방문 경험자의 경우 동네 책방만의 고유한 분위기(83.3%, 동의율)와 일반 대형 서점과는 다른 매력(81.5%) 때문에 힐링이 되는 기분이었다(72.8%)는 평가가 많았다. 특히 아직 동네 책방을 방문해본 적이 없는 경우일지라도 기회가 된다면 꼭 한번 가보고 싶다(77.3%(2017) → 80.8%(2022))는 인식이 높게 나타난 점은 더욱 주목해볼 만한 부분이었다. 

 


- 75.6% “책 구매 목적이라면 대형 서점 찾을 것”
- 78.2% “주변에 매력적인 동네 책방 많아졌으면”

→ 한편, 단순 책 구매가 목적이라면 대형 서점을 먼저 고려할 것 같다(75.6%, 동의율)는 응답이 많았다. 아무래도 동네 책방은 대형 서점에 비해 책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48.9%, 중복응답), 할인/제휴 등 부가 서비스를 기대하기 어렵다(42.8%)는 점이 대형서점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주된 이유인 것으로 보여졌다. 또한 공간이 비좁고(37.2%),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지 않은 데다(29.5%) 베스트셀러와 같은 대중 도서를 구하기 어렵다(22.1%)는 지적도 뒤를 이었다. 특히 20대 응답자에서 베스트셀러를 구하기 어렵다는 점(20대 33.2%, 30대 21.2%, 40대 16.0%, 50대 18.0%)에 대한 아쉬움이 강했다. 반면 대형 서점과 비교했을 때 동네 책방만이 갖는 강점으로는 주거지와 가까운 곳에 위치해 접근성이 좋고(45.7%, 중복응답), 서점 같지 않은 특유의 안락함이 있다(41.2%)는 점을 언급한 경우가 많았다. 특히 고연령층일수록 접근성(20대 34.4%, 30대 38.4%, 40대 51.2%, 50대 58.8%) 부분을 높게 평가했으며, 대형 서점과 비교해 번잡하지 않고(35.0%), 대형 서점엔 없는 특색 있는 책이 많으며(28.3%), 타인과의 소통이나 교류의 장을 마련할 수 있다(24.0%)는 응답도 함께 확인해볼 수 있었다. 

 

이렇듯 다소 엇갈리는 호오에도 불구하고 동네 책방의 미래는 밝게 전망되고 있었다. 동네 책방만의 묘미(80.5%, 동의율)와 대형서점엔 없는 동네 책방만의 특별함(73.8%) 덕분에 향후 동네 책방에 대한 수요가 꾸준할 것 같다(68.0%)는 인식이 많았다. 또한 내 주변에도 특색 있는 동네 책방(78.2%, 동의율)이나 보다 다양한 동네 책방(77.3%)이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기대감도 눈여겨볼 만한 부분이었다. 특히 동네 책방을 방문하는 건 대형 서점 방문과는 목적부터 전혀 다르다(59.9%, 동의율)는 응답을 통해 단순 도서 구매 목적이 아닌 문화와 취향의 공간으로서 동네 책방이 갖는 경쟁력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 최근 1년 기준 독서량 7.7권, 2017년 대비 소폭 더 줄어
- 10명 중 8명 “독서 필수적 문화생활이나 강요될 순 없어”

→ 한편, 이전 2017년 조사와 비교해 최근 1년 기준 평균 독서량(교과서, 참고서 등 제외)은 소폭 감소(9.0%(2017) → 7.7%(2022))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독서할 시간적인 여유가 부족(57.8%(2017) → 50.4%(2022))하고 독서 외에 할/놀거리가 많아진 점(28.0%(2017) → 41.0%(2022)) 등을 과거 대비 독서량이 줄은 이유로 평가한 경우가 많았다. 이에 반해 독서량이 더 늘었다고 응답한 사람들의 경우 상식과 교양을 쌓고 싶고(46.7%, 중복응답), 스스로의 지식 부족을 느낀 데다(43.5%), 독서 후의 뿌듯함이 좋아서(40.2%) 등 자기계발 및 개인적인 성장 등을 독서량 증가의 이유로 언급한 경우가 많았다.

 

 

물론 독서의 필요성에 대해선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10명 중 8명(84.2%, 동의율)이 독서 활동은 반드시 필요한 문화생활이라는 인식을 드러낸 것인데, 가끔 스스로의 저조한 독서량 때문에 경각심이 들거나(77.0%) 책을 많이 읽는 사람에 대해 존경심이 생긴다(74.8%)는 응답이 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독서를 하는 이유로 자기계발(51.7%, 중복응답)과 특정 분야에 대한 식견(40.4%), 자기 만족(35.8%) 등을 많이 언급했으며, 독서는 따분한 행위(11.2%, 동의율)라는 평가는 매우 드문 것을 알 수 있었다. 주목해볼 만한 점은 독서의 필요성과 별개로 독서 행위를 강요할 순 없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독서는 일종의 취향이자 취미일 뿐 강요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81.8%, 동의율) 취미나 습관이 아닌 이상 책을 읽는 행위가 쉽지는 않다(65.7%)는 인식이 높게 나타나, 독서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독서량이 저조하다고 해서 부정적으로 평가하거나 독서를 강요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본 조사는 특정 기업의 의뢰 없이 엠브레인 컨텐츠사업부(트렌드모니터)
자체 기획 및 자체 비용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자료구성
  • 통계테이블
  • 보고서

상세정보

  • 여가/외식-미디어/문화
  • 조사기간 2022-11-09~2022-11-14
  • 샘플수 1000
  • 보고서 페이지수 26

자료 다운로드

전체파일

  • 통계테이블
  •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