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이슈

누가 대한민국의 중산층이 되는가? 현실적 기준은 ‘총 자산 규모(84.5%)’, 이상적 기준은 ‘태도에 철학이 있는 사람(71.5%)’

[TK_202303_TRY8930] 2023 중산층 관련 인식 조사

목차


I. Research Overview

1) 조사 설계

2) 응답자 특성

 

II. Research Summary

III. Research Finding

 

PART A. 한국 사회 內 ‘계층’ 및 ‘계층 상승’ 관련 인식 평가

1. 평소 주변인(경제적 상황)에 대한 관심도 평가

2. 본인 및 자녀 입장에서의 한국 사회 만족도

3. 現 본인의 계층 평가

4. 한국 사회 內 계층 이동 가능성 평가

 

PART B. 한국 사회 內 ‘중산층’ 기준 및 이미지 평가

1. 한국 사회 內 중산층의 기준

2. 이상적인 중산층 유형

3. 한국 사회 중산층 현황 및 기준 관련 인식 평가

4. 중산층 이미지 평가

① 정치·사회 분야

② 투자·세금·부(富)

③ 교육·인간관계

④ 문화 생활·소비 습관

5. 중산층이 향유하는 문화생활 유형

6. 한국 사회 內 중산층 증가 필요성

- 한국사회에서 중산층을 결정하는 기준은 ‘총 자산 규모’
- 반면, 이상적인 중상층으로는 ‘가치관이 뚜렷한 사람’ 
- 10명 중 3명만이 스스로를 ‘중산층’이라 평가
- “한국사회에서는 노력만으로 계층 상승 어려워”
- 10명 중 8명 “앞으로 빈부격차 더욱 심해질 것”
- 중산층이 많아져야 국민이 행복하다는 인식 높아

 


- 한국사회에서 중산층을 결정하는 기준은 ‘총 자산 규모’
- 반면, 이상적인 중상층으로는 ‘가치관이 뚜렷한 사람’ 

 →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가 전국 만 19세~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중산층 이미지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사회에서의 ‘중산층’은 재산과 소득 수준을 기준으로 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선, 중산층을 정하는 기준으로는 부동산을 포함한 총 자산 규모에 따라 정해진다(84.5%, 중복응답)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현금 보유량(59.3%)과 직업(50.5%)이 그 뒤를 이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전 조사 대비 현금 보유량(45.1%(2017) → 53.6%(2021) → 59.3%(2023))과 직업(29.3%(2017) → 48.6%(2021) → 50.5%(2023)) 등 실물 자산과 수입을 응답한 비율이 소폭 증가한 점이다. 그에 비해 타인에 대한 태도(11.7%, 중복응답), 도덕·사회 규범에 대한 태도(11.5%)에 의해 중산층의 여부가 결정된다는 인식은 낮은 수준으로 계층을 결정하는 데에 사회적 규범보다 경제적 능력이 더욱 중요한 기준으로 여겨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였다. 실제로 한국사회에서 중산층은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사람을 뜻하거나(77.5%, 동의율) 내 집 마련에 성공한 사람을 뜻하는 경향(59.1%)이 강한 편이었는데, 이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중산층의 유형과도 거리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대체로 이상적인 중산층 유형으로 타인에 대한 태도에 철학이 있는 사람(71.5%, 중복응답), 도덕·사회 규범에 대한 자신의 관점이 있는 사람(59.4%)을 꼽고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자산이 많거나(21.7%, 중복응답) 현금을 많이 보유한 사람(14.5%)을 이상적으로 보는 시간은 일부에 불과했다. 결국, 현재 한국사회에서 받아들여지는 중산층의 이미지는 ‘자산규모’라는 경제적 능력 기준과 ‘뚜렷한 가치관’ 이라는 별개의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10명 중 3명만이 스스로를 ‘중산층’이라 평가
- “한국사회에서는 노력만으로 계층 상승 어려워”

 → 한편, 한국사회에서 자신을 중산층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은 적었으며, 계층이동에 대한 기대감은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중산층의 비중이 줄어들면서 빈부 격차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2명(22.5%)만이 한국 사회는 중산층이 많은 나라라고 답했으며, 본인 스스로 중산층에 속한다고 평가한 응답은 10명 중 3명(32.0%)에 불과했다. 이는 자신이 하류층에 해당된다(41.7%)고 생각하는 사람들보다 낮은 수준으로, 자신의 삶에 대해 스스로 낮게 평가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 사회는 돈이 있으면 살기 좋은 나라라는 인식(79.6%, 동의율)이 강한 만큼, 중산층의 삶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많은 편이었지만(55.2%) 불안정한 경제 상황으로 인해 해당 계층으로의 진입조차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현재 우리나라를 노력만으로 성공할 수 있는 나라(27.5%, 동의율), 중산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기회가 많은 나라(20.7%)로 평가하기보다, 한번 가난해 지면 평생 가난하게 살고(51.0%) 더 나은 상태로의 계층 이동은 불가능하다(51.3%)는 점에 상대적으로 높은 공감을 내비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계층 이동에 대한 기대감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처럼 높은 계층 상승 욕구와 낮은 기대감 사이의 괴리가 커지면 장기적으로 경제활동에 대한 동기가 떨어진다는 측면에서 우려가 되는 부분이다. 나아가 향후 자녀세대의 계층상승은 자유로울 것 같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역시 극히 드물어(14.4%, 동의율) 한국 사회의 미래를 더욱 어둡게 전망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처럼 계층 이동이 어렵고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기대를 할 수 없는 한국사회의 모습은 사회구조적 문제라는 인식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6명(58.3%)이 중산층이 늘어나지 않는 것은 한국사회가 그만큼 공정하지 않다는 뜻이라고 밝혔으며, 이에 따라 우리사회의 중산층은 앞으로 더욱 줄어들 것(58.1%)이라고 언급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계층 이동의 문제는 제도가 아니라 개인의 노력에 달려있다는 시각은 26.8%에 불과해 스스로의 노력만으로 계층 상승을 기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인식이 크게 자리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였다.

 

 

- 10명 중 8명 “앞으로 빈부격차 더욱 심해질 것”
- 중산층이 많아져야 국민이 행복하다는 인식 높아

 →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듯 전체 응답자 10명 중 8명(80.5%)은 앞으로 우리사회의 빈부격차 가 더욱 커질 것이라는 데에 공감을 내비치고 있었다. 한국 사회는 상류층, 하류층만 있을 뿐 중산층이 줄어들고 있다는 응답도 58.5%에 달했다. 이에 따라 양극화된 사회에서 힘든 사람만 더 힘들어지고(72.1%, 동의율) 한국 사회에서 더 이상 장밋빛 비전을 기대하긴 어려워 보인다(52.7%)는 응답도 높게 평가되고 있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저연령층일수록 한국 사회의 미래를 더욱 어둡게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20대 56.4%, 30대 55.6%, 40대 49.6%, 50대 49.2%) 향후 경제 성장의 동력이 될 2030 젊은 세대가 상대적으로 미래에 대한 절망감을 더 크게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를 보여주듯 전체 응답자 10명 중 3명(31.7%)만이 다시 태어난다면 우리나라에서 태어나고 싶다고 답했으며 기회가 생긴다면 언제든지 외국으로 이민을 갈 의향이 있다(40.2%(2021) → 48.0%(2023))는 응답은 이전 조사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불안정성과 사회적 불평등이 증가하며 한국 사회에 대한 만족도가 크게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처럼 중산층 비율이 낮아지고 빈부격차가 심화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보니 중산층이 늘어날 필요성에 대해서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산층이 많아져야 국민이 행복해지며(62.7%, 동의율), 우리나라의 중산층이 전체적으로 늘어났으면 좋겠다는 응답이 68.0%에 달한 것이다. 이를 위한 국가 차원의 방안으로는 집값 안정화(57.2%, 동의율), 지속적인 성장 정책(53.3%), 복지 정책 확대(51.9%) 등을 꼽고 있어 국가 주도 하에 경제적, 사회적 안정을 되찾는 것이 계층 양극화의 속도를 늦추는 데에 무엇보다 중요한 관건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조사는 특정 기업의 의뢰 없이

엠브레인 컨텐츠사업부(트렌드모니터)의

자체 기획 및 자체 비용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자료구성
  • 통계테이블
  • 보고서

상세정보

  • 사회/문화-사회이슈
  • 조사기간 2023-03-07~2023-03-10
  • 샘플수 1000
  • 보고서 페이지수 38

자료 다운로드

전체파일

  • 통계테이블
  • 보고서
트렌드모니터의 콘텐츠를
구독하세요!
트렌드모니터의 콘텐츠를 구독하세요!
패밀리 사이트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