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쇼핑

오늘은 1시간, 내일은 30분? 온라인 장보기도 ‘속도전’

[TK_202501_NWY10000] '퀵커머스' 서비스(플랫폼) 관련 U&A 조사

목차


I. Research Overview

1) 조사 설계

2) 응답자 특성

 

II. Research Summary

III. Research Finding

 

PART A. 평소 장보기 패턴 평가

1. 평소 장보기 빈도

2. 평소 장보기 패턴

3. 온 vs 오프라인 장보기 비중

4. ‘온라인’ 장보기 시 중요 고려 사항

5. 평소 주 이용 ‘온라인’ 장보기 채널

6. 상품 유형별 주 이용 ‘온라인’ 장보기 채널

① 냉장·신선식품류

② 상온·가공식품류

 

PART B. ‘퀵커머스’ 서비스(플랫폼) 이용 경험 평가

1. ‘퀵커머스’ 서비스(플랫폼) 이용 경험

2. ‘퀵커머스’ 이용 경험 평가

① 플랫폼별 이용 비중

② 구매 제품 카테고리

③ 이용 빈도

3. 향후 ‘퀵커머스‘ 서비스(플랫폼) 이용 의향

4. ‘퀵커머스’ 서비스(플랫폼) 관련 전반적인 인식 평가

1) 전체

2) 성별

3) 연령별

- 10명 중 9명, “온라인 장보기, 정말 유용한 서비스”
- 온라인 장보기, ‘가격·배송 속도·품질’ 중요하단 인식 높아
- ‘퀵커머스’, “빠른 배송, 소비자에게 편리해”
- 주로 ‘급하게 물건 필요할 때’ 이용하는 경향 뚜렷
- 69.2%, “향후 장보기도 ‘빠른 배송’이 핵심 될 것”
- 고연령층, ‘오프라인’ 장보기 보다 선호하는 편

 

 

- 10명 중 9명, “온라인 장보기, 정말 유용한 서비스”
- 온라인 장보기, ‘가격·배송 속도·품질’ 중요하단 인식 높아

 →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가 서울, 경기(수도권)에 거주하는 19~6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퀵커머스 서비스(플랫폼) 관련 U&A 조사’를 실시한 결과, ‘온라인 장보기’에 일상에서 필수적인 서비스로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빠른 배송이 가능한 ‘퀵커머스’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선, 전체 응답자의 상당수가 바쁜 현대인들에게 ‘온라인 장보기’는 정말 유용한 서비스인 것 같고(87.7%, 동의율), 만약 해당 서비스가 없었다면 일상생활이 불편했을 것 같다(72.8%)고 평가할 정도로, 이제는 온라인 장보기가 일상의 필수적인 서비스로 자리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아직까지는 오프라인 이용 비중이 다소 높은 편이었지만(온라인 47.6%, 오프라인 52.4%), 이전 대비 온라인 장보기 비중이 증가했다(49.1%)는 응답이 다수를 차지한 만큼, 향후 온라인 이용자는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특히, 가사 관여도가 높은 3040대를 중심으로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장보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진 특징을 보이고 있는 점이 주목할 만한 결과였다(20대 47.5%, 30대 58.0%, 40대 51.5%, 50대 54.5%, 60대 38.5%). 아무래도 이들 세대는 가정에서 생필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다 보니,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장보기를 해결하려는 니즈가 타 연령층보다 높게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소비자들이 온라인으로 장을 볼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단연 ‘가격(50.3%, 중복응답)’을 최우선으로 꼽았고, ‘배송 속도(41.1%)’, ‘제품 품질(37.1%)’이 그 뒤를 이었다. 온라인 플랫폼은 가격 비교가 쉽다는 점이 강점 중 하나인 만큼, 보다 합리적인 쇼핑을 위해 다양한 채널을 활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을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었다. 실제로 전체 응답자 10명 중 6명(63.5%)은 물건 하나를 구매할 때도 여러 쇼핑 채널의 가격을 비교해서 구매하는 모습을 보였다. 아울러 ‘빠른 배송’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평가한 점도 눈에 띄는 대목이었다. 온라인에서 장을 볼 때 ‘배송 속도’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53.0%, 동의율)는 응답이 절반 이상에 달한 것으로, 특히 30대 응답자를 중심으로 빠른 배송에 대한 니즈가 높은 편이었다(20대 53.5%, 30대 66.0%, 40대 56.0%, 50대 47.0%, 60대 42.5%). 이 때문인지 장보기 채널로 새벽배송(80.2%, 중복응답)을 이용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퀵커머스’, “빠른 배송, 소비자에게 편리해”
- 주로 ‘급하게 물건 필요할 때’ 이용하는 경향 뚜렷

 → 배송 속도를 중요하게 여기는 태도가 강해지면서 ‘퀵커머스(Quick-Commerce)’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퀵커머스’는 상품 주문 시 통상적으로 한 두 시간 내외로 배송이 완료되는 즉시 배송 서비스로, 실제 이용 경험률(20.3%) 대비 최근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점이 주목할 만한 결과였다(나는 최근 ‘퀵커머스’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 – 45.8%). 주로 빠른 배송이 가능해 소비자 입장에서 편리하고(77.2%, 동의율), 급하게 물건이 필요한 상황에 유용하다(77.0%)는 점이 퀵커머스 서비스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핵심 이유였다. 실제로 퀵커머스 이용자의 경우 시간적 여유가 있는 상황(23.3%)보다는 당장 급하게 필요한 물건이 있을 때(76.7%) 해당 서비스를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고, 그러다 보니 서비스 이용 빈도는 월 2~3회(30.5%) 정도로 높지는 않은 수준이었다. 플랫폼 중에서는 주로 배달 앱(59.7%)을 통해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배달 플랫폼 내에서는 배달 앱 자사 마트(79.7%, 중복응답), 대형마트(52.1%), 편의점(47.9%) 순으로 이용 경험률이 높게 나타났다. 배달 앱은 다양한 유통 채널을 한 곳에서 비교하고 선택할 수 있어 접근성 측면에서 강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형마트, 편의점 등 자체 앱을 통해 퀵커머스를 이용(36.5%)한 응답자는 주로 새벽배송(75.5%, 중복응답)과 대형마트(67.1%) 플랫폼을 이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제품별로는 신선식품(41.4%, 중복응답), 간편식(37.9%), 가공식품(33.5%) 등 식품류를 주로 구매하는 편이었다.

 


- 69.2%, “향후 장보기도 ‘빠른 배송’이 핵심 될 것”
- 고연령층, ‘오프라인’ 장보기 보다 선호하는 편

 → ‘퀵커머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향후 관련 시장의 성장 가능성도 긍정적으로 점쳐지고 있었다. 앞으로는 배송 속도가 유통업계의 중요한 화두가 될 것 같고(71.7%, 동의율), 이제는 장보기도 ‘빠른 배송’ 서비스가 핵심이 될 것 같다(69.2%)는 전망을 많이 내비친 것으로, 앞으로 가장 빠른 배송을 해주는 유통채널 중심으로 이용을 자주 하게 될 것 같다(58.3%)는 응답도 과반으로 평가되고 있었다. 이에 전체 응답자 10명 중 7명(69.3%)은 향후 퀵커머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히고 있었다. 이용 의향이 있는 플랫폼으로는 대형마트(67.5%, 중복응답), 새벽배송(64.1%)을 주로 꼽았고, 저연령층을 중심으로 배달 앱 자사 마트(20대 49.3%, 30대 44.9%, 40대 48.8%, 50대 32.4%, 60대 26.5%)와 편의점(20대 44.7%, 30대 30.9%, 40대 24.8%, 50대 16.2%, 60대 16.2%)을 언급한 비율이 두드러지는 특징을 보였다. 다만, 퀵커머스 서비스로 판매하는 제품은 편리한 만큼 가격이 더 비쌀 것 같다(67.8%, 동의율)는 인식이 높고,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보다 미리미리 장을 봐 두는 게 좋을 것 같다(53.7%)는 의견이 많다는 점은 생각해 볼 만한 대목이었다. 특히, 60대 고연령층을 중심으로 오프라인 장보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타 연령층 대비 뚜렷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하단 그래프 참조). 아직까지는 퀵커머스에 대한 가격 민감도가 높은 만큼, 향후 대중소비자들이 수용할 수 있는 적정 수준으로 가격대를 형성하는 것이 퀵커머스 시장 성장에 무엇보다 중요한 관건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조사는 특정 기업의 의뢰 없이
엠브레인 컨텐츠사업부(트렌드모니터)
자체 기획 및 자체 비용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자료구성
  • 통계테이블
  • 보고서

상세정보

  • 유통/쇼핑-유통/쇼핑
  • 조사기간 2025-01-23~2025-01-31
  • 샘플수 1000
  • 보고서 페이지수 27

자료 다운로드

전체파일

  • 통계테이블
  • 보고서

트렌드모니터만의 유용한 콘텐츠로
인사이트를 얻어 가세요!
트렌드모니터의 유용한 콘텐츠로 인사이트를 얻어 가세요!
패밀리 사이트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