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

모바일 헬스케어 상용화 되면, “진료대기시간 많이 줄고(66.4%), 진료비용 감소될 것(52.9%)”

[TK_201308_NWY2606] 2013 모바일 헬스케어 관련 조사

목차


Ⅰ. Research Overview

1. 조사 설계

2. 응답자 특성

II. Research Finding

1. <모바일 헬스케어> 인지 여부 및 필요도 평가

2. <모바일 헬스케어> 이용 유형 및 현재 이용 분야

3. <모바일 헬스케어> 결과 타인 공유, 결과에 대한 병원 문의 경험 및 결과 신뢰도 평가

4. 향후 <모바일 헬스케어> (재)이용 의향 및 이용 의향 유형

    4-1. <모바일 헬스케어> 이용 의향 분야 및 건강 케어 이용 의향 분야

5. <모바일 헬스케어> 이용 적합 대상자

6. <모바일 헬스케어> 장점 및 단점

7. 모바일 원격 진료 이용 의향 및 비이용 의향 이유

8. <모바일 헬스케어> 관련 의견 -

1)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으로 <모바일 헬스케어>의 활성화는 꼭 필요하다

2) 아직까지는 <모바일 헬스케어> 기술을 믿을 수 없다

3) 앞으로는 <모바일 헬스케어>로 꾸준하게 건강관리를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4) <모바일 헬스케어>로는 체계적인 건강관리가 이루어질 것 같지 않다

5) <모바일 헬스케어>는 번거롭고 복잡할 것이다

6) <모바일 헬스케어>가 상용화될 경우, 진료를 받기까지 대기 시간이 많이 줄어들 것이다

7) <모바일 헬스케어>가 상용화될 경우, 진료 비용이 많이 감소할 것이다

 

- 가장 적합한 대상 ‘성인병에 노출되기 쉬운 40~50대’와 ‘60대 이상의 고연령층’
- 모바일 헬스케어의 장점 “꾸준한 건강 관리가 가능하고, 시간이 절약된다”
- 반면 ‘진단 결과의 정확성 믿을 수 없을 것 같고’, ‘관련 제품 구입해야 한다’는 것이 최대 단점
- 현재 12.6%가 모바일 헬스케어 이용, 향후 모바일 헬스케어 이용 의향 52.1%로 비교적 높아

 

 

    최근 건강에 대한 개개인의 관심이 늘어나는 것은 매우 긍정적인 변화이지만, 좀 더 들여다보면 마치 하나의 그럴 듯한 트렌드처럼 느껴질 때가 많다. 가령 웰빙 음식을 먹거나, 비타민 또는 영양제를 섭취하는 정도로 건강을 유지한다고 생각하거나, 꾸준한 운동으로 건강을 관리하기보다 다이어트에만 신경 쓰는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모바일 헬스케어’가 주목을 받고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액세서리를 연동해 운동량과 식단을 체계적으로 기록 및 분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시간으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체크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좀 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건강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강조되는 것이다. 더 넓은 의미에서 모바일 헬스케어는 기존 의료진료 시스템를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는 의료서비스로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병원의 의료 인프라와 환자들의 디지털기기를 유기적으로 연동시킬 경우, 굳이 병원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언제 어디서나 진료를 받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특히나 병원을 방문해도 간단한 검진을 받는 게 대부분인 만성질환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고령층에게 안성맞춤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바쁜 생활 속에서 병원을 찾을 시간도 내기 힘든 직장인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많다. 무엇보다 병원 대기시간과 진료시간, 병원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점이 모바일 헬스케어의 최대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시장조사전문기관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trendmonitor.co.kr)가 전국 만 19~59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인지도는 아직까지는 낮은 수준이었다. 모바일 헬스케어를 들어본 적이 있는 응답자는 56.3%였으나, 그 내용까지 알고 있는 응답자는 4.1%에 불과한 것이다. 아예 용어조차 들어본 적이 없다는 응답자도 43.7%에 이르렀다. 그러나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설명을 듣고 나서는, 전체 64.9%가 향후 필요성이 높은 서비스라고 바라봤다. 전체 10명 중 6명(59%)이 향후 모바일 헬스케어로 꾸준하게 건강관리를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특히 40대(64%)와 50대(65.6%)의 관심이 많았다.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활성화가 필요한다는 공감대(58.7%)도 큰 편이었다. 또한 모바일 헬스케어가 상용화 되면 진료를 받기까지의 대기시간이 많이 줄어들 것이라는 의견이 66.4%로 매우 많았으며, 진료비용이 많이 감소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진 응답자도 52.9%에 이르렀다. 다만 아직 낮은 인지도 때문인지, 모바일 헬스케어의 기술이나 도움 정도에 대해서는 불확실한 태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모바일 헬스케어 기술을 믿을 수 없다고 바라보는 의견이 38.1%로 적지 않았다. 또한 체계적인 건강관리가 이뤄질 것 같지 않다는 데에도 잘 모르겠거나(54.3%), 동의하는 의견(26.9%)이 상당히 많은 것이다. 이에 대한 비동의 의견은 18.8%에 불과했다. 모바일 헬스케어가 번거롭고 복잡할 것 같다는 인식에도 보통의견(53.4%)이 가장 많은 가운데, 동의 의견(22.2%)과 비동의 의견(24.4%)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아직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 이용에 가장 적합한 대상자로는 성인병에 노출되기 쉬운 40~50대(60.2%, 중복응답)와 60대 이상의 고연령층(50.2%), 혼자 살고 있는 독거노인(45.1%)을 가장 많이 꼽았다. 병원 방문이 잦지만, 실제 진료과정은 그리 번거롭지 않은 대상들이 모바일 헬스케어에 적합하다고 바라보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야근과 출장이 많은 30~40대 직장인(42.8%)과 임신 및 출산 예정인 산모(24.7%),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은 20~30대 여성(22.2%)이 적합하다는 의견이 뒤를 이었다. 모바일 헬스케어의 가장 큰 장점으로 꾸준한 건강 관리가 가능하고(61.6%, 중복응답), 시간이 절약된다(50.9%)는 점을 꼽는 의견이 많았다.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측정 결과를 계속 누적해서 관찰할 수 있고(46.5%), 진단 절차가 간편하다는(44.8%) 의견이 많았으며, 의료비용의 절감(42.5%) 역시 모바일 헬스케어의 중요한 장점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반면 진단 결과의 정확성을 믿을 수 없을 것 같고(84%, 중복응답), 모바일 헬스케어 이용 시 스마트폰이나 관련 제품을 구입해야 한다는 점(78.4%)은 모바일 헬스케어의 최대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진단결과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의견(70.3%)도 적지 않았다.

 

 

 

 

    설문에 참여한 패널(panel.co.kr) 중 현재 모바일 헬스케어를 이용 중인 응답자는 12.6%였으며, 세부적으로는 헬스케어 스마트폰 APP 9%, 헬스케어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 2.8%, 스마트폰 연결/측정 의료제품 2%였다. 현재 이용이 많은 모바일 헬스케어 분야는 운동량을 체크하는 ‘피트니스 케어’(50%, 중복응답), 칼로리 및 식단을 체크하는 ‘다이어트 케어’(44.4%), 성인병 예방 등을 위한 ‘건강 케어’(24.6%), ‘수면 케어’(21.4%) 순이었다. 모바일 헬스케어 이용자들이 바라보는 신뢰도는 44.4% 수준이었다. 향후 모바일 헬스케어 (재)이용 의향은 52.1%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아직 잘 모르겠다는 의견이 36.8%였으며,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11.1%에 그쳤다. 희망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분야는 건강케어(85.6%, 중복응답)와 피트니스케어(83.1%)였으며, 다이어트 케어(74.3%), 수면케어(50.7%) 순이었다. 가장 원하는 모바일 헬스케어의 유형은 헬스케어 스마트폰 APP(72.2%, 중복응답)이였으며, 헬스케어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연결/측정하는 의료제품이 각각 32.6%, 29.9%로 그 뒤를 이었다.

 

본 조사는 특정 기업의 의뢰 없이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 자체 기획 및 자체 비용으로 진행되었다.

  • 자료구성
  • 설문지
  • 통계테이블
  • 보고서

상세정보

  • 뷰티/헬스-헬스케어
  • 조사기간 2013-08-29~2013-09-02
  • 샘플수 1000
  • 보고서 페이지수 0

자료 다운로드

전체파일

  • 설문지
  • 통계테이블
  • 보고서

연관 키워드

트렌드모니터의 콘텐츠를
구독하세요!
트렌드모니터의 콘텐츠를 구독하세요!
패밀리 사이트
GO